5년차 직장인 B씨는 며칠전 원형탈모로 병원 처치를 받고 있다. 6년 전 원형탈모가 갑작스럽게 시행됐는데,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만성적으로 재발하고 있기 때문이다. 김**씨는 '탈모를 한 번 겪어보니 식습관부터 케어 제품까지 케어에 신경이 쓰인다'고 말했다.
20~30대가 국내 탈모시장 `큰 손`으로 떠증가했다. 과거 유전적 원인보다 임신과 출산, 염색, 스트레스 등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 탈모 증상을 호소하고 있는 시민들이 늘었기 때문이다. 탈모 방지 샴푸부터 영양제, 치료기까지 관련 시장도 커지는 추세다.
2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말을 인용하면 2014년 국내 탈모 병자 수는 24만3628명으로 2015년(90만8534명)대비 19% 올랐다. 연령별로는 30대가 23.5%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 20대(20.8%)다. 같은 시간 탈모 치료에 쓰인 총 진료비도 195억원에서 309억원으로 57% 불어났다.
국내 잠재적 탈모 인구는 약 8000만명으로 추정된다. 특별히 `영(Young) 탈모` 인구가 즉각적인 속도로 늘고 있다. 헬스앤코스메틱(H&B) 스토어 올리**의 말을 인용하면 작년 20~30대의 탈모 케어 헤어용품 수입은 작년대비 71% 급증했다. 이는 전체 신장률(60%)을 훌쩍 뛰어넘은 수치다. 올리** 직원은 '과거 유전적 요인에 맞게 숙명으로 치부되던 탈모가 며칠전에는 외부 환경적 요인에 따라 증상 완화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20~30세대를 중심으로 두피를 우선적으로 관리하고, 탈모를 미연에 방지하려는 수요가 불었다'고 이야기 했다.
대한모발학회는 국내 탈모 관련 의료·제품 시장 덩치가 약 4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. 전형적인 제품은 탈모 케어 샴푸다. LG생활건강이 2013년 출시한 탈모 케어 브랜드 `닥터***`의 누적 판매량은 10001000개를 돌파했다. 이는 1분에 약 5.5개꼴로 팔린 셈이다. 아모레***의 두피 스킨케어 브랜드 `라보***`의 이번년도 1분기 수입도 전년 4분기대비 49% 증가했다. 에프페시아 구매대행 아모레***은 50년간의 실험 끝에 녹차에서 추출한 유산균 발효용해물이 두피 장벽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탈모 관리 상품에 반영했다.
국내 탈모인구가 늘면서 이를 악용한 과장 마케팅에도 주의가 필요하다.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`탈모 관련 제품 및 서비스 문제점 개선방안` 보고서의 말을 인용하면 탈모 방지 샴푸는 약사법상 `탈모 방지`와 `모발의 굵기 증가` 이외에 다른 광고 문구를 쓸 수 없다.
허나 일부 중소업체들이 탈모 방지 샴푸를 판매하면서 `탈모 치료`나 `발모 효과` 등의 문구를 내걸어 구매자들의 혼란이 가중된다는 지적이다. 일반 두피케어업소에서 치료를 권유하면서 `일정시간 사용 후 불만족시 100% 환불 보장` 등을 광고해 분쟁을 겪는 경우도 응시됐다.
한국소비자원은 '탈모 관련 제품과 서비스 시장이 확대됨에 주순해 소비자피해도 일괄되게 접수되고 있다'며 '의료기관이 아닌 일반 두피관리업소에서 사용 전후 사진 비교 등 법규 위반의 소지가 있는 광고표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'고 밝혀졌습니다.